What is Geometry?
- fstrframe
- 2017년 5월 30일
- 4분 분량

A 탑튜브길이 TOPTUBE LENGTH
일반적으로 C-C(CENTER TO CENTER)방식으로 측정되지만 탑튜브의 길이보다 잠시후 소개될
유효탑튜브로 사이즈를 결정하는것이 좀더 자신에게 맞는 프레임을 선택할수 있습니다.
탑튜브의 길이보다는 유효탑튜브 길이가 프레임선택에 있어 더욱 정확한 수치입니다.
B 싯튜브길이 SEATTUBE LENGTH
유효탑길이와 마찬가지로 사이즈결정에 중요한 부분입니다. 너무 짧은 싯튜브는 싯포스트의 한계 장착점을
오버하여 파손/사고로 이어질수 있습니다.
또한 같은 유효탑길이를 가졌다고 하더라도 자전거의 슬로핑 / 퍼슛 / 수평 에 따라
싯튜브길이는 충분히 달라질수 있습니다.
또한 싯튜브 사이즈는 CENTER TO CENTER(CC)로 측정하는 방법과 CENTER TO TOP(CT) 을
측정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비비의 쉘을 중앙부분부터 탑튜브의 중앙을 지나는 것이 CC /
쉘의 중앙부터 싯튜브의 끝을 측정하는 것이 CT 입니다.
통상적으로 CT를 사이즈로 표기합니다.
C 헤드튜브 각 HEAD TUBE ANGLE
헤드튜브각이란 지면과 헤드튜브를 측정하였을때 나타나는 각도입니다.
헤드튜브의 각이 클수록 반응성과 조향성이 좋아지고 안정성은 떨어집니다. 각이 낮아질수록 안정성은 좋아지고 조향성과 반응성은 떨어지게됩니다.
조향성이 좋아진다는 것은 민접한 조작이 가능하다는 뜻이며 안정성이 좋아진다는 것은
주행감이 좋아진다는 뜻입니다.
스템이 길어질수록 헤드각이 낮아지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반대로 스템이 짧아질수록 헤드각이 커지는 효과가
나타나며 스템이 짧을수록 조향과 반응성이 좋아집니다.
일반적으로 로드와 픽스드기어를 비교한다면
로드가 픽스드에 비해 헤드튜브각이 낮은 제품이 많습니다.
위에 설명과 같이 반응성을 높히고 조향성을 높혀야 하는 트랙경기등에 맞춰
제작된것이 픽스드기어의 프레임 지오메트리입니다.
물론 그로인해 발생하는 안정성(주행감)은 떨어질수 밖에 없죠.
D 포크 FORK
포크에서는 RAKE 와 AC(AXLE TO CROWN)이 명확해야 합니다. 같은 프레임이라고 할지라도
포크가 다르다면 설계한 지오메트리가 달리지는 효과를 가지고 오게됩니다.
포크의 RAKE는 헤드튜브 각도와 매우 비슷합니다.
RAKE가 낮을수록 반응성과 조향성은 높아지며 안정성은 떨어지게 됩니다.
또한 반응과 조향만을 위해 높은 헤드튜브각과 낮은 레이크를 사용한다면 휠베이스가 짧아지며 크랭크와 프론트가
닿는 발간섭이 심해질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픽스드기어도 40이상의 RAKE를 사용하는 포크를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ALPINA FORK 또는 LEADER FORK 와 같은 포크는 28~35 RAKE 로 지오메트리를 설계하고 있습니다.
D 싯튜브 각 SEATTUBE ANGLE
상체에 비해 짧은 하체(다리길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싯튜브각을 높이면 안장을 앞,뒤로 조정하는 경우보다
좀더 정확한 피팅이 가능합니다. 또한 싯튜브각이 높아질수록 전경자세(에어로자세)를 취하기 좋으며 페달효율이
좋아집니다. 반대로 싯튜브각이 낮아질수록 라이딩시 승차감이 좋아집니다.
로드와 비교하였을시 픽스드기어에 비해 싯각이 낮은 차대가 많습니다.
일본 차대중에 싯튜브 각도가 엄청나게 서있는 차대들이 간혹 보이기도 하는데
이런경우 대부분 독주차대인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현재 선수생활을 하는 분들에게 조언을 얻은 경우가 있었는데
싯각이 너무 서있는 경우 앞쪽근육만을 너무 사용하게 되어
힘이 빨리 빠지거나 하는 경우게 발생하기도 한다고 들었습니다.
또한 대회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UCI의 규정상 안장의 앞코가 비비쉘중앙(비비축)에서
5CM뒤에 위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점까지 고려하여 선택하여야 합니다.
또한 신장이 작을수록 싯각이 높은것이 유리한데 이는 싯각이 낮을 경우 최초의 설계된
자전거 프레임의 외형에 의해 그만큼 싯튜브의 길이는 길어지게 되고 유효탑길이가
길어지게 됩니다. 그부분을 수정하기 위해 유효탑을 줄이는 등을 통해
최초 목적으로 하였던 지오메트리의 장점이 전체적으로 변경될수 있습니다.
E 유효탑튜브 길이 EFFECTIVE TOP TUBE LENGTH
같은 탑튜브 길이를 가졌더라도 프레임 디자인에 따라 수평이 아닌 이상 탑튜브의
유효탑길이는 달라지게 됩니다.
퍼슛과 슬로핑의 경우에는 헤드튜브와 싯튜브의 연장선을 연결했을 때 지면과 수평이 될 때의
길이가 유효탑튜브 길이입니다.
유효탑길이가 본인에게 맞지 않을 경우 스템으로 어느정도의 피팅으로 해결할수는 있지만
스템의 길이에 따라 헤드튜브각에서 언급한 내용처럼
헤드튜브각이 변경되는 효과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유효탑튜브 길이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결정입니다.
F 헤드튜브 길이 HEADTUBE LENGTH
일반적으로 같은 사이즈 기준으로 슬로핑,수평,퍼슛 의 순으로 긴 헤드튜브 길이를 가지게 됩니다.
헤드튜브의 길이는 피팅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신의 유연성에 비해 짧은 헤드튜브를 가지게 된다면
스페이서등을 이용하여 스템의 위치를 조정하여야 합니다.
헤드튜브 길이가 길어질수록 안정성이 좋아지며 헤드튜비 길이가 짧아질수록 반응성과 조향성이 좋아집니다.
싯튜브가 길어질수록 헤드튜브는 짧아지게 되며 싯튜브가 짧아질수록 헤드튜브가 길어지게됩니다.
이는 안장과 핸들간의 낙차높이에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자신의 라이딩 스타일에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H 체인스테이 길이 CHAINSTAY LENGTH
체인스테이가 짧을수록 순발,추입 타입 길수록 지구력,선행 타입의 라이딩스타일을 가진 라이더와 잘 맞습니다.
체인스테이가 짧으면 반응성이 좋아지는 대신 유지력이 떨어지게되며 더 많은 힘을 필요하게 됩니다.
체인스테이가 길수록 유지력이 좋고 안정성이 있지만 반응성이 떨어지게됩니다.
또한 체인스테이는 포크 RAKE 와 더불어 휠베이스에도 영향을 주게됩니다.
로드와 픽스드기어를 비교하였을때 로드프레임의 체인스테이가 더 길게 설계되어있습니다.
I 휠베이스 WHEELBASE
프론트와 리어의 중심축을 지면으로 내려 측정되는 거리입니다.
휠베이스는 체인스테이에서도 언급했듯이 포크 RAKE와 체인스테이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다.
휠베이스가 길수록 안정성과 승차감이 좋아지는 반면 반응성과 가속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또한 휠베이스를 나누면 FRONT CENTER 와 REAR CENTER 로 나뉘게 되는데
FRONT CENTER 는 페달 간섭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타이트한 휠베이스를 가지고 있어도 FRONT CENTER 의 길이가
길게 설계 되어있다면 페달간섭을 줄일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에는
페달간섭이 커지게 됩니다.
J 스탠드오버 STAND OVER
자전거를 타지 않는 정지시에 안장의 앞으로 탑튜브에 서있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입니다.
스탠드 오버의 높이가 너무 높다면 정차시 위험할수 있으며 싯튜브의 길이가 자신의 신체에 비해
긴것을 나타냅니다.
스탠드 오버의 높이는 라이더의 인심에서 1인치 정도 낮은것이 좋습니다.
스탠드오버가 지나치게 높다면 자전거에서 하차하다 탑튜브에 내리는 순간
소중한 부위가 아파합니다.
K 비비드랍 BB DROP
비비드랍은 포크의 프론트휠 장착액슬부위와 드랍아웃 리어휠의 장착액슬부위를
수평으로 하였을때 비비와의 간격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라이더의 개인의 신장,자세가 우선이겠지만 비비드랍의 높이가 클수록 주행시 안정감이있습니다.
하지만 비비드랍의 높이가 클수록 바닥에 페달이 닿는 페달스트라이크 현상이 일어날수 있습니다.
픽스드기어의 경우에는 58~50의 비비드랍을 많이 가지게 되며
로드프레임의 경우에는 그보다 낮은 비비드랍으로 설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L 스템 STEM
프레임 지오메트리에서는 포함되지 않지만 지오메트리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어 함께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보통 스템을 선택할때 자신에게 맞는 사이즈를 기준하여 90~100미리로 이야기 하고 있지만 사람마다 가지는 신체적인
특성이 다르기에 이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스템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면 핸들 반응성이 빨라지며 다운힐에서 좀더 안정적인 포지션이 가능합니다.
반대로 스템이 길어지게 되면 바퀴의 회전축과 멀어지게 되어 핸들을 더많이 움직여야하지만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로드와 MTB를 비교해보면 가장 쉬운방법일것 같습니다. 또한 스템을 선택할때는 스템의 각도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무작정 각도가 큰 스템을 장착한다거나 한다면 라이딩시 통증이나 자신의 라이딩 타입과는 맞지 않게 되어 사고로
이거지거나 자전거의 흥미를 잃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자전거 지오메트리와 관련된 부분을 간단히 정리하여 보았습니다.물론 아직까지 리치나 스택등의 좀더 디테일한 부분이
존재하지만 좀 더 정리하여 다시 작성하도록 할께요.또한 자전거의 지오메트리의 이해는 자신의 정확한 피팅데이터와라이딩
스타일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Comments